[명예훼손·모욕] 명예훼손 고소, 증거수집부터 처벌까지 A to Z > 법률칼럼 | 뉴로이어 법률사무소

빠른상담예약(유료상담)

070-8098-0421

  • 대표자김수열
  • 주소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525, 세영제이타워 11층(06536)
  • 사업자등록번호588-14-01388
  • 대표번호070-8098-0421
  • 이메일contact@newlawyer.co.kr

법률칼럼

뉴로이어의 노하우가 깃든 핵심 칼럼

[명예훼손·모욕] 명예훼손 고소, 증거수집부터 처벌까지 A to Z

  • 작성일 : 25.08.25
  • 조회수 : 301
명예훼손 고소, 증거수집부터 처벌까지 A to Z (변호사 직접 작성)

명예훼손 고소, 더 이상 참지 마세요.
증거수집부터 가해자 처벌까지

온라인 커뮤니티, SNS, 심지어 직장 내 메신저까지... 익명성에 기댄 악의적인 비방과 허위사실 유포로 인해 고통받고 계신가요? 실추된 명예와 정신적 피해를 더 이상 혼자 감당하지 마십시오. **명예훼손 고소**는 당신의 권리를 되찾고 가해자에게 합당한 책임을 묻는 가장 강력하고 정당한 법적 수단입니다.

이번 칼럼에서는 법을 잘 모르는 피해자분들도 쉽게 이해하고 바로 행동에 나설 수 있도록, **명예훼손 고소 절차**의 모든 것을 A부터 Z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.

1. 내 사례, 고소 가능할까? 명예훼손 성립요건부터 확인

**명예훼손 고소**를 결심했다면, 가장 먼저 내 피해 사례가 법적으로 범죄에 해당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 **명예훼손 성립요건**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.

[명예훼손죄 3대 성립요건]
① 공연성: 불특정 다수가 볼 수 있는 곳에 글을 남겼는가? (인터넷 게시판, 단체 카톡방 등)
② 특정성: 그 내용이 나를 지칭하는 것임을 제3자가 알 수 있는가? (실명, 닉네임, 신상정보 등)
③ 사실 또는 허위사실의 적시: 나의 사회적 평가를 깎아내리는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가?

특히 **사이버 명예훼손**의 경우, 전파 속도가 빨라 피해가 크기 때문에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더 무거운 **명예훼손 처벌**이 내려집니다. 만약 구체적인 사실 적시 없이 욕설만 있다면 **모욕죄**로 고소 가능성을 검토해볼 수 있습니다.

2. 고소의 핵심: 명예훼손 증거수집, 이렇게 해야 합니다.

"어떤 증거를 모아야 하나요?" 피해자들이 가장 많이 묻는 질문입니다. **명예훼손 증거수집**은 고소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.

  • 게시글/댓글 캡처: 반드시 URL 주소 전체가 나오도록 전체 화면을 캡처해야 합니다. 가해자가 글을 삭제할 것에 대비해 즉시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가해자 정보: 가해자의 아이디, 닉네임, IP 주소(확인 가능한 경우), 개인 방송 채널 등 특정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수집합니다.
  • 목격자 진술: **직장내 명예훼손 고소**의 경우, 해당 내용을 들은 동료의 진술서나 사실확인서가 결정적인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.

수집한 증거는 **명예훼손 고소장 작성방법**에 맞춰 논리적으로 정리해야 합니다. 이 과정이 어렵다면 초기부터 **명예훼손 전문 변호사**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합니다.

3. 명예훼손 고소 절차와 가해자 처벌 수위

증거수집이 완료되었다면, 본격적인 **명예훼손 고소 절차**가 시작됩니다.

[고소 절차]
증거자료 취합 → 변호사 상담 및 고소장 작성 → 관할 경찰서 민원실에 고소장 접수 → 고소인(피해자) 진술 조사 → 피고소인(가해자) 조사 → 검찰 송치 및 처분 결정

혐의가 인정될 경우, 가해자는 **명예훼손 처벌**을 받게 됩니다. 특히 **허위사실유포 명예훼손**은 7년 이하의 징역, 5천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매우 무겁게 처벌됩니다.

이 모든 복잡한 과정을 혼자 진행하는 것은 벅찰 수밖에 없습니다. **명예훼손 전문 변호사**는 고소장 작성부터 경찰조사 동행, 가해자와의 합의 중재,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까지 모든 과정을 대리하여 피해자가 온전히 일상을 회복하는 데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